도메인과 URL, 기본 개념 및 관련 용어

   막상 도메인을 구매해서 직접 홈페이지 운영을 시작하다 보면 도메인과 URL 관련 용어에 대한 기본 개념이 다소 부족하여 여러모로 혼란스러운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에 관련 내용들의 기본 개념과 용어들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이해를 돕고자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도메인 기본 정의 

(1) 도메인(domain) 이란?

▶ 도메인은 쉽게 말해 가상공간에서 문패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인터넷상의 주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래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를 알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문자의 형태로 변환한 것입니다.

▶ 영문 도메인(63자 이하) :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

▶ 한글 도메인(17자 이하) : 한글(표준 완성형),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

IP(Internet Protocol)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의 위치와 식별을 위해 숫자(4개의 10진수)로 구성하여 부여된 고유주소(예 : 240.237.65.110)

(2) DNS(Domain Name System / Server) 란?

DNS는 문자로 만들어진 도메인을 다시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로 바꾸어주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System) 또는 이러한 역할을 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Server)를 말하기도 합니다.(도메인 혹은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해석해 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 / 도메인 <=> IP)

DNS 서버는 각 사이트 도메인과 IP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고 있다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을 원하는 신호가 오면 이를 번역해 해당 IP주소를 가진 사이트의 호스트(컴퓨터) 서버에 연결시켜 줍니다.

◈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2. 도메인과 URL의 구조 

(1)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정보 자원(data)의 종류와 위치를 찾기 위해 나타내는 일련의 규칙을 말합니다. 

▶ 우리가 흔히 혼용해서 쓰는 인터넷 주소(도메인)와 경로, 이메일, 파일 등의 모든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종류와 위치)를 포함한 광의의 주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아래의 URL 구조도를 통해 관련 용어를 함께 참고해 두시면 향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 겁니다.

URL 구조도

(2) 도메인 구조 및 구성 이해(상위, 하위/서브 등)

▶ 도메인은 위 그림에서 표시된 빨간 네모 부분으로 TLD(최상위도메인)부터 시작해서 왼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을 기준으로 추가될 때마다 2단계(또는 2차), 3단계(또는 3차) 등 계층적으로 구성됩니다.

도메인(domain) 구조

 1) 최상위 도메인(TLD : Top Level Domain) 

▶ 도메인 체계에서 최상위 도메인으로 도메인 네임의 가장 마지막 부분을 말하며, 사용 목적, 기관, 국가 등에 따라 분류됩니다.(각 링크를 방문해 보시면 자세히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 generic) : 국가 외의 단체나 기관이 주관(com, net, org. edu, biz 등)

◈ 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ew gTLD) :  2014년 이후부터 출시된 신규 도메인으로 브랜드, 일반명사, 지역명 등이 사용 가능(coffee, website, xyz, email, news, camera 등)

◈ 국가 최상위 도메인(nTLD / ccTLD : national / country code) : 세계 각 국가들을 두 자리 영문약자로 표현한 약 190여 개의 국가도메인(한국 .kr / 스위스 .ch / 독일 .de / 유럽연합 .eu 등)

 2) 차상위 도메인(SLD : Second Level Domain) 

▶ 흔히, 최상위 도메인(TLD) 바로 앞에 오는 도메인을 차상위 도메인(SLD)이라고 합니다.(2단계)

▶ 차상위 도메인(SLD)의 종류와 의미(주로 ccTLD와 함께 사용)

S L D 사용 의미
co 영리 단체나 기업
go 정부 기관
ac 교육 기관
or 비영리 기관
re 연구소, 연구단체

◈ 참고로 2차(단계) 도메인에서 위 표의 목록 등만 SLD로 인정하는 경우(A)와 TLD 앞에 오는 모든 문자(이름)를 SLD로 보는 경우(B)가 있습니다.

    (A) : google.com에서 SLD가 없는, [ google : 도메인 이름 ]+TLD

    (B) : google.com에서 [ google :도메인 이름]을 SLD로 규정

◈ 추가로 흔히들 티스토리 등의 블로그와 연결하기 위해 구매한 도메인을 [ 2차 도메인 ]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의 경우처럼 [ 2차 도메인 ]이란 표현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 : google.co.kr => google(도메인 네임) + co(SLD) + kr(TLD) [ 3차(단계) 도메인 ]

 4) 루트 도메인(Root Domain) 

▶서브(하위) 도메인이 없는 2차(tistory.com) 또는 3차(google.co.kr) 도메인입니다.

▶ 실제 우리가 도메인 등록대업체로부터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일정 기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임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 이름과 최상위(com 등) 또는 차상위+최상위(co.kr 등)로만 구성되는 도메인입니다.

 3) 서브 도메인(또는 하위) 

▶ 루트 도메인 앞에 원하는 이름(확장자)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루트 도메인의 하위 계층으로 하위 도메인이라고도 합니다. 다양한 목적으로 사이트의 하위 섹션을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흔히 루트 도메인(2차 도메인 또는 3차 도메인)과 혼동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서브(하위)는 루트의 하위 개념입니다.

▶ 사용 용도 및 목적

▣ 웹사이트 게시 전 테스트 및 준비 버전으로 하위 도메인을 만들어 사용

▣ 별도의 하위 도메인을 만들어 전자상거래 사이트 운영(shop.abc.com / store.abc.com 등)

▣ 티스토리 블로그에 도메인을 연결하여 한 번에 여러 개의 하위 블로그까지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해

 4) 참고 : www의 유무에 따른 도메인 차이 

▶ 루트 도메인에 www가 붙은 [ www.도메인.com ]과 [ 도메인-com ]를 같은 도메인으로 혼동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 둘의 도메인은 전혀 다른 사이트로 인식됩니다. 

▶ 정확히 [ www.도메인.com ]은 [ 도메인.com ]의 하위 도메인입니다.

▶ 인터넷 초창기에 www를 붙여 공식 주소로 사용되던 것이 점점 짧은 루트 도메인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www를 사용하지 않는 추세지만, 아직 www를 포함한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일반적으로 www의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기본 루트 도메인으로 접속이 되는 것은 도메인이나 호스팅 업체에서 기본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인데, 필요에 따라 리디렉션 등의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하여 www를 이용할 수도 있다.

(3) URL 기타 구성 요소

▶ 앞서 설명드린 도메인을 포함하여 프로토콜, 더블 슬래시, 서버, 경로 및 파일, 파라미터, 프래그먼트 등으로 구성됩니다. 주요 항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은 전문 사용자가 아닌 이상, 이런 것도 있다는 것만 아셔도 될 것 같습니다.

1) 프로토콜(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에서 웹서버와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문서 교환 등의 상호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약을 말합니다. 주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주고받는 데 사용됩니다.

 2) HTTPS(HTTP Over SSL, HTTP Secure) 

▶ 쉽게 말해 보안 기능이 강화된 HTTP의 버전을 말합니다. 

▶ 정보 보안이 중요한 은행이나 공공기관, 인터넷 상거래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반 블로그나 웹사이트 운영을 위해서도 SSL과 함께 필히 알아두셔야 할 개념입니다.

▶ HTTPS 암호화를 적용하지 않은 웹사이트의 경우 '안전하지 않다',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등의 경고 표시와 함께 접속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SSL 인증서가 필요하고 SSL 인증서가 있는 경우 웹브라우저 주소 표시줄에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 SSL(Secure Sockets Layer : 보안 소켓 계층) :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표준 암호 통신 프로토톨(회원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다루는 웹사이트는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3) 서버(Server) 

▶ 서버의 종류를 나타내며 가장 많은 사용되는 것이 웹 서버(web server / www)입니다.

 4) 경로(Path) 및 파일 

▶ 웹서버에서 정보 자원 및 파일의 경로를 의미하며 도메인 다음 /(슬래시) 뒤에 위치합니다.

 5) 파라미터(Query Parameter) 

▶ URL 끝에 첨부된 정의 매개변수 집합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콘텐츠 또는 작업을 정하는 데 사용되는 URL의 확장입니다. ?(물음표) 뒤에 나열하고 &(앤드)로 매개변수를 추가합니다. 

 6) 프래그먼트(Fragment) 

▶ 해시태그(Hashtag)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해당 문서의 일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3. 도메인 관련 서비스 용어 

(1) (웹) 호스팅

▶ 호스팅은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해 도메인과 함께 필요한 필수 서비스입니다. 도메인을 구매하고 홈페이지를 만들어 온라인상에 구현하려면 홈페이지의 데이터들을 저장해야 합니다. 바로 이런 저장 공간을 서버라 하고 개별 사용자의 서버(컴퓨터)에서도 운영을 할 수 있지만 속도나 보안, 365일 가동, 비용 등등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전문회사가 이러한 서버를 임대해주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을 호스팅이라고 합니다.

▶ 호스팅을 구매하실 때는 다음 세 가지를 홈페이지 운영 목적과 함께 고려해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 하드 용량 : 홈페이지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공간(PC의 하드와 같은 개념)

 ◈ 트래픽 용량 : 인터넷상에서 송수신되는 통신의 양으로 접속자가 많을수록 많은 트래픽 발생(텍스트 및 이미지를 보거나 음악 및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다운로드할 때 발생)

 ◈ 서버 환경 : 홈페이지를 만드는 개발 환경에 따라 선택(Linux : HTML, PHP / windows : ASP 언어)

(2) 도메인 연결 및 네임 서버(Name Sever)

 도메인 연결 : 주요 포털(블로그 등), 사이트, 외부 메일, SNS 등의 네임 서버를 미리 설정하여 클릭 한 번으로 쉽고 빠르게 도메인과 연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티스토리 블로그 등을 개별 도메인으로 편하게 연결)

▶ 블로그에 별도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제공하는 호스트 관리 기능을 통해 블로그 호스트를 도메인 네임 서버에 추가해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예 : 티스토리 블로그 도메인 연결)

이때 사용되는 네임 서버의 정의는 아래와 같고 도메인 및 호스팅 업체도 각각의 고유 네임 서버(호스트명)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예 : 가비 1차 네임서버 : ns.gabia.co.kr / IP : 211.234.118.50)

▶ 네임 서버 : 인터넷상에서 도메인(문자 주소)과 그에 상응하는 IP(숫자 주소)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컴퓨터(서버)로 DNS 서버의 한 유형

(3) 포워딩 서비스

▶ 도메인을 소유자가 원하는 별도의 다른 웹 사이트 주소로 자동 연결시켜주는 서비스로 여러 개의 접속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예 : abc.com => news.com)

(4) 파킹 서비스

▶ 정식 홈페이지가 준비되지 않았거나 이용이 중단된 경우 공사 중, 인사말, 연락처 등의 내용으로 임시 페이지를 설정하는 서비스

(5) DNS 레코드(설정)

▶ DNS(웹 사이트 정보를 보유한 시스템) 상에서 도메인에 관한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문자(정보 타입)들을 통칭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등을 구매한 도메인 주소로 연결할 때 등에도 필요한 개념으로 대략적인 개념 정도는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매핑(mapping) : 하나의 값을 다른 값으로 대응(배치, 연결)시키는 것

◈ A(Address record)  : 도메인 주소(서비스)를 호스팅 하는 IP 주소로 연결(도메인 주소 => IP 주소로 매핑) 

◈ TXT(Text record) : 일반적인 텍스트 내용을 기록,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 정보 제공

◈ CNAME(Canonical Name record 캐노니컬) : 소유한 도메인에 별칭을 부여한 특정 도메인 주소(도메인 주소 => 도메인 주소로 매핑)

(6) 도메인 보안 및 잠금 서비스

▶ 도메인을 구매하여 등록하면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안내를 받는 중요한 서비스입니다.

▶ 도메인 등록대행업체에 따라 무료나 유료로 제공되며 가급적 해커 등의 외부 위협으로부터 도메인의 소유권 및 안전을 위해 서비스 등록 신청을 하시길 권유드립니다.(아래 3가지 서비스 유형 참고)

▶ 등록업체에 따라 서비스 명칭이 다를 수 있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등록정보 숨김(개인 정보 보호)(무료 or 유료) : 도메인 소유자의 등록 정보를 등록 대행업체의 관리 정보로 대체하여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악용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후이즈 : 블라인드 서비스)

◈ 도메인 안전 잠금(무료) : 불법적으로 소유권 이전, 등록 정보 변경, 타기관 이전, 등록 취소, 네임 서버 변경 등을 할 수 없도록 잠금 설정하는 서비스

◈ 기관이전 잠금(무료) : 도메인을 타기관으로 이전할 수 없도록 잠금 설정하는 서비스

맺 음 말

  지금까지 도메인과 URL, DNS, 루트 도메인, 상위/하위 도메인, HTTPS 등 도메인 기본 개념 및 관련 서비스 용어 등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 봤습니다. 사실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전문적으로 직접 운영하실 분이 아니라면 굳이 이 정도의 내용도 필요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독립적인 워드프레스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직접 운영하시려는 분들께는 조금이나마 필요한 내용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전체적으로 부족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많지만 처음 이 분야를 접하시는 분들께는 조금의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마음입니다.

관 련 글

 

도메인 네이밍, 좋은 도메인이란?

세상에는 이미 수많은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어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을 만들어 등록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와 같습니다. 그럼에도 웹사이트 운영을 위해서는 좋은 도메인 네이밍이 필요한데, 어

haepos.com

 

도메인 비교 및 추천, 구매 전 고려사항(호스팅 등)

처음 도메인을 구매할 때는 보통 도메인 업체의 가격만 비교해서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도메인을 구매하실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먼저 홈페이지 운영 목적 등

haepos.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